(예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를), 너희는 들었다.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이렇게 말한다. 1. 살인해서는 안된다고 너희는 들었다. 1-1. 그러나 너희는 아예 화도 내지 마라. 2. 간음하지 말라고 너희는 들었다. 2-2. 그러나 너희는 아예 음탕한 생각조차도 하지 마라. 3. 거짓 맹세를 해서는 안된다고 들었다. 3-3. 그러나 너희는 아예 맹세 자체를 하지 마라.
살인하지 말고, 간음하지 말고, 거짓말, 거짓 맹세하지 말고, 이건 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해서는 안될 것들, 인간이라면 지켜야 할 최소한의 것이다. 최소한으로 만족하지 말고, 너희는 최대한으로 한번 살아봐라. 너희는 최대한으로 거룩하고, 너희는 최대한으로 의롭고, 너희는 최대한으로 사랑하며 살아라. 예수님의 말씀은 이렇듯 애매하지도 않고 복잡하지도 않습니다.
우리 성당은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Called to Renew 라는 이름으로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이 캠페인은 낡고 허물어져 가는 교회 건물을 고치고 수리하라는 대주교님의 요청입니다. 여기에는 대교구내 모든 성당이 참여하고, 우리 성당의 경우에는 목표액 180,000불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9만불은 교구내의 다른 일에 사용되고, 나머지 9만불은 우리 성당이 사용을 하게 됩니다.
우리 성당 건물을 지금 수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 듯 합니다. 우리 성당의 경우는 성전의 창문틀 하나 성한 게 없고, 성탑 종탑에서는 물이 새고, 성당 창고는 터마이터로 인해 당장 손을 봐야할 지경입니다.
저는 적어도 3가지 이유때문에, 이번 캠페인을 적극 지지하고, 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첫째, 성당은 우리 공동체의 영적인 집입니다. 성체를 모셔 두고 있는 곳이고, 공동체가 함께 모여 전례를 거행하는 곳입니다. 둘째, 우리 성당은 우리 후세에게 물려줄 소중한 유산이기도 합니다. 우리 후세들에게 이 상태 그대로 물려주겠다는 것은 너무도 안이하고 무책임한 생각입니다. 셋째, 우리 성당은 제 1 세대, 수많은 교우들의 도네이션으로 이루어 졌고, 여기엔 돌아가신 분을 포함하여, 이분들의 애정과 추억이 고스란히 서려 있는 곳입니다. 이분들의 뜻을 소중히 받들고, 애지중지 잘 가꾸고, 고쳐야 할 의무가 우리에게 있습니다.
우리 목표액은 180,000 불이지만, 저는 이보다 훨씬 많은 액수가 모이기를 바라며, 여러분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합니다. 우리가 받게 되는 9만불로는 창문공사, 종탑공사, 창고 공사를 제대로 할 수가 없습니다. 턱없이 부족하고 훨씬 더 필요합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일시불로 한꺼번에 다 돈을 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5년동안 나누어서 낼 수 있습니다. 한꺼번에 목돈이 들어가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저는 여러분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으로 많이 협조 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오늘부터 저는 여러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나서 설명을 드릴 것입니다. 현재 성당에 나오지 못하는 분들도 만나러 갈 것입니다.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것, 최선을 다해 모금을 하겠습니다. 여러분도 최선을 다해 이번 캠페인의 주역이 되어 주십시오.
지금까지 많이 내고 계신 분도 계시고, 적게 내고 계신 분도 계십니다. 이번에는 우리 모두가 한 마음으로 앞장서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그렇다고 200프로 300프로 달성하는 게 불가능 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오늘 복음 말씀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수님께서 오늘 명령하시는 것이 어려워 보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불가능 한 것도 아닙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닮고자만 한다면, 그리고 우리가 하나로 뭉친다면, 훨씬 더 빠른 시간내에 우리 목표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주님의 축복으로 우리가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정성들여 기도합시다.
2023년 연중 제 6주일 가해 강론
한 끼 나눔 3주년을 향하여
우리 한 끼 나눔이 오는 2월 2일에 2주년을 맞이합니다. 지금도 그 때가 생생합니다. 준비할 겨를도 없이 다급하게 서둘러서 벌였던 운동인데도, 시작한지 불과 단 한 주 만에 24명의 후원자가 5,579불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그리고 오늘까지 2년에 걸쳐 여러 단체 및 350명의 개별 후원자께서 총 138,353불을 맡겨 주셨습니다.
103명의 봉사자가 각자 작게는 한 두시간에서 많게는 400시간까지 수고해 주셔서, 그렇게 합친 시간이 3천시간도 훨씬 넘습니다. 이 운동을 기도하면서 돕는 분들도 많은 데, 다른 기도를 제외하고도, 묵주기도만 총 724,518 단이었습니다. 이런 노력과 정성이 모여서 모두 26.000 끼를 나눠 드릴 수가 있었습니다.
저는 하느님이 너무 고맙습니다. 그리고 저는 여러분이 너무 고맙습니다. 오늘 2 독서 말씀의 한 구절이 제 마음속에 계속 머물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살게 해 주셨습니다.” 가난한 사람을 위해 지속적으로 기도하고, 지속적으로 자선하고, 지속적으로 봉사한다는 것은 여러분이 예수님 안에 살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여러분이 예수님 안에 잘 살아 주셔서, 그런 여러분이 저는 너무나 고맙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을 예수님 안에 살도록 해 주신, 그렇게 만들어 주신 하느님이 저는 너무나 고맙습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의 행복 선언입니다. 모두 8가지가 나옵니다. 줄줄 외울 수 있다면 더 좋겠지만, 그냥 한 가지로 요약 한다면, 행복하여라, 예수님 안에 사는 사람들! 제 생각에는 뭐 이렇게 요약해도 별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 예수님께 의지하는 사람들,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 예수님을 사랑하는 사람들, 예수님을 본받고자 하는 사람들, 다시 말해 예수님 안에 사는 사람은 행복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사랑하셔서, 스스로 가난을 택하신 분입니다. 예수님은 가진 것도 별로 없이 가난했습니다. 집도 땅도 돈도 없었습니다. 부모도 가난했고, 어울리던 친구들도 비슷하게 가난했습니다. 그 뿐 아니라 예수님의 내면까지도 가난하셨습니다. 하느님으로서의 권능도 영광도 다 비우셨습니다.
예수님은 부유하셨지만 스스로 가난하게 되셨습니다. 죄도 많은 우리를 너무나 사랑하셨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그 사랑에 감사드리고, 그 은혜를 갚아 드리는 최고의 방법은, 지금 헐벗고 굶주린 이웃을 돌보는 일입니다. “행복하여라, 자비를 베푸는 사람들, 그들은 자비를 입을 것이다” 우리가 하느님께 자비를 베풀어 줄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자비를 베풀어야 할 사람은 가난 속에서 고통받는 우리 형제 자매입니다.
진복팔단, 예수님의 행복선언은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예수님처럼 살아가는 방법입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나의 재능, 나의 시간, 나의 생명이 오롯이 전부 다 내 것이라는 착각을 하지 않습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하느님만 저 멀리 제쳐 둔 체, 그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에만 기대고 만족하며 살 지를 않습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겸손한 사람이고 거룩한 사람입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하느님 앞에서 아무것도 드릴 것이 없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마음의 가난은 그를 구해 줄 것이고, 마침내 하느님의 가장 큰 선물, 하느님의 나라를 받게 해 줄 것입니다.
예수님 안에서 살아가는 것이 참된 행복입니다. 어려움이 닥쳐도 박해를 당해도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를 감싸주고 계심을 그는 압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성부께서 당신 품으로 안아 주셨듯이, 그렇게 그를 안아 주실 것입니다.
예수님 안에서, 예수님 처럼, 그렇게 마음이 가난한 사람, 그렇게 온유한 사람, 그렇게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이 되게 해 달라고 기도드립시다.
예수님 안에서 예수님 처럼, 마음이 깨끗한 사람, 평화를 이루는 사람이 되게 해 달라고 기도 드립시다. 예수님 안에서 예수님 처럼 고통 받는 이웃에 더욱 가까이 가게 해 달라고 기도 드립시다.
2023년 1월 28일
김지완 신부
CATECHETICAL SUNDAY
Good morning, I want to thank Fr. Kim for this opportunity to deliver a homily today about my experience as a catechist in celebration of Catechetical Sunday. Today, all Catholics across the country celebrate Catechetical Sunday.
It’s a wonderful time to thank catechists for their work and reflect on their call to share and live out their faith. Each year, Catechetical Sunday is celebrated with a different theme. Last year we celebrated with the theme, "Say the Word and My Soul Shall be Healed.” This year, “This is my body given for you.” And I want to emphasize the word “Given.”
How many of you here like to receive or prefer to receive than give? How many of you like to give or prefer to give than receive? I think it’s human nature and desire to have a longing to receive rather than give. Jesus gave everything, even his life, for us. And we received our life in exchange and everything else we have. I want to share with you how I was inspired to become a catechist.
When I first came to St. Matthew, I was on hiatus from all voluntary church work I had done for years to focus on raising my three children. In the beginning, I liked it. I had more time to spend with my kids because I only needed to come to mass. All was well, except that my faith life was stagnating. Still, water or stagnant water boils or rots. The children were growing healthy, my job was great, and we were doing well. However, I was not happy, and I always felt an emptiness in my heart. I realized I had become irate, impatient, and hostile at home.
I also realized that I had stopped smiling at my children. Instead, I was venting out on them, who were more vulnerable and weaker than me. I felt depressed, worthless, useless, needless, and miserable. What hit me was a complete lack of belongingness and needlessness. I thought I could not live another day feeling this way and desperately needed to find a way to get myself out of this misery.
Then one Sunday, I was in mass with my youngest, who was about 3-4 years old, and other parents with many non-school-aged children in the baby room. It was like a zoo, chaos. Kids were whining and crying, and none of the parents in the room could be entirely devoted to mass.
Then a little thought crossed my mind. What if one person can volunteer to take all these children to a separate room and care for them? Then the rest of the people could participate in mass without any commotion. So I suggested to Mrs. Yim, then the director of REP at the time, to open a Sunday School class for preschoolers and Kinders, and I heard a faint whispering in my ears saying, “how about you.” I volunteered myself, and that’s how I got to where I am today. I only made a spark, and God turned it into a blaze. Through this experience as a catechist, I realized how bad of a parent I was (selfrealization).
I repented for how I had hurt God by having negative thoughts and mistreating my children, who were gifts from God, and not being proactive and misusing the time God gave to me. I became more understanding, generous, kind, and caring for my children. I want to say that my relationship with my children got better, stronger, and closer.
God showed me, and I realized how my life should be lived. God showed me my life’s true meaning and purpose. I needed to feel that I was wanted and needed. Being needed was what drove and inspired me to live. I realized that I was created to give just like Jesus gave. Jesus came to the world to give his life for our salvation.
If God gave his only son, Jesus, and Jesus gave his life for us, we, too, must give. For God gave us life and everything we have, my purpose in life is gratefully enjoying and paying forward what God gave. There are many ways to give. Some people give in the form of money, but others give in the form of time and service.
Being a catechist is my way of paying forward, giving a bit of my time back to God. It is my way of atoning for my sins against God and my children and living my life to the fullest. Just as children mirror their parents, I think we, the parents, also see ourselves through the eyes of children. Interacting with them as a catechist helped me see more clearly where I have been, where I stand, and where I am going.
It may appear very challenging and intimidating, but nothing is impossible if you have God on your back. You just need to be willing to give and serve and just put one foot in; then, God will do the rest. I often talked about rewards for being a catechist or serving the Church.
I think I have already been rewarded. The fact that God created me in his own image and likeness and was chosen by Him to become his daughter is my reward. Our reward is Jesus, his son, who gave up everything for us and gave us life. Thus, we should liver gratefully give thanks to Jesus for our actions.
As a director of Religious Education and parent, I want to take this moment to thank our catechists for stepping up to take on this mission year after year, even in times of uncertainty.
Their tireless effort and devotion made it possible to keep our children connected to God and each other. Our Sunday school programs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heir continuous service and sacrifice.
Sunday School is an opportunity for you, students, to build your relationship with Jesus and learn how to be like him. Sunday school is a grace and blessing from God poured out onto you. It’s your privilege and duty to learn and know about God. And you are blessed to carry out this privilege well.
Sunday School is not an option. It is a vocation, a Call from God. It’s a call from God for the children to come, learn, and build a relationship with God. And it is a call from God forvolunteers to their mission. Are you really going to say ‘No’ to his call?
09-18- 2022
Lydia Park, D.R.E of San Matthew Korean Catholic Church
주소: 7245 Valmont St, Tujunga, CA 91042
전화: (818) 951-0879 (사무실)
(818) 951-0869 (FAX)
본당 사무실 시간 :
월(Mon): 9:00am~ 2:00pm
수(Wed): 9:00am~ 3:00pm, 6:30pm-7:30pm
목(Thu): 9:00am~ 3:00pm
금(Fri): 5:30pm-8:30pm
토(Sat): 9:00am ~ 11::30am, 3:00pm-5:00pm
일(Sun): 7:00am ~3:00pm
웹 페이지 관리자 E-mail